고객서비스

정보센터

 HOME  >  고객서비스  >  정보센터

[물류 뉴스] 이집트, 수에즈운하 통행료 내년부터 10~15% 인상

  • 운영자 /
  • 날짜 2022.09.29 /
  • 조회수 8,047 /

 

 

 

 

유조선 통항료 15%, 일반 화물선 및 크루즈선 10% 인상


유럽과 아시아를 잇는 최단 무역 항로인 이집트 수에즈 운하의 통항료가 내년에 10∼15% 인상된다.

 

17일(현지 시간) AP통신에 따르면 수에즈운하관리청(SCA)은 내년부터 원유와 석유 제품을 실은 유조선의 통항료를 15%, 건화물을 실은 화물선과 크루즈선의 통항료는 10% 각각 인상할 계획이라고 이날 밝혔다. 통항 요금 인상은 내년 1월 1일부터 적용된다.

 

오사마 라비 SCA 청장은 전 세계적인 물가 상승으로 운하 운영, 유지 및 해사 서비스 비용이 인상됐다면서 "통항료 인상은 불가피한 조치"라고 말했다. 그는 "SCA가 명확한 매커니즘에 의해 통행료를 조정했으며 수에즈 운하는 대체 경로에 비해 가장 효율적이고 비용이 적게 드는 경로"라고 강조했다. 이집트는 올 3월에도 수에즈운하 통행료를 최대 10% 인상한 바 있다.

 

이집트의 수에즈 운하 통행료 인상은 전반적인 물가 상승 영향도 있지만 이집트의 경제 사정이 안 좋은 것도 영향을 미친 것으로 보인다. 미 연방준비제도(Fed·연준)의 금리 인상과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으로 이집트 경제가 휘청이면서 곡물과 연료 등 필수품을 수입하기 위한 외화가 가파르게 줄고 있는 상황이다. 이에 따라 수에즈 운하 통행료 인상을 통해 외화 수입을 늘리려는 의도가 있는 것으로 풀이된다.

 

수에즈 운하는 전세계 무역 물동량의 약 10%, 원유 물동량의 약 7%가 지나는 곳으로, 이집트는 운하 통행료를 통해 상당한 외화를 벌어들이고 있다. 지난해 수에즈 운하를 이용한 선박은 2만 649척으로 전년 1만 8830척보다 10%가량 늘었으며, 이를 통해 이집트가 번 수익은 63억 달러(약 8조 7000억 원)에 달했다.

 

  

출처 서울경제

 

 

 

수에즈 운하 관련 : [당신의 선택은] 수에즈 운하 VS 파나마 운하 (인천항만공사 공식블로그)

 

  


TOTAL : 78

정보센터 게시판

번호 제목 파일 등록일 작성자 조회
78 [국가별 정보] 베트남, 내국수출입 제도 관련 관세법 개정 추진 동향 보고 2025.06.12 운영자 181
77 [국가별 정보] 2025년 중국 수입 관세 알아보기 2025.02.13 운영자 6,780
76 [국가별 정보] 미국, 자동차 산업 보호 위해 대중 제재 법안 강화 2024.10.24 운영자 10,357
75 [국가별 정보] 인도, 주요 원재료 · 중간재 수입관세 인하 2024.09.26 운영자 10,498
74 [국가별 정보] 아르헨티나 정부, 수입 대금 송금 완화 조치 시행 2024.09.26 운영자 10,637
73 [물류 뉴스] 비행기 타고 오는 테무·쉬인 배송, 북미행 항공 화물 운임 인상에 영향 2024.08.14 운영자 11,402
72 [국가별 정보] 中, 스쿠터 헬멧 등 7개 품목 대상 CCC 인증관리 적용 2024.05.23 운영자 10,047
71 [국가별 정보] 양대 운하 차질이 미국 공급망에 미치는 영향 2024.02.20 운영자 8,840
70 [국가별 정보] EU의 러시아산 철강제품 우회수입금지, 우리 기업이 유의해야 할 점은? 2023.11.08 운영자 9,346
69 [국가별 정보] 베트남 수입 면세제도 최근 동향 2023.08.10 운영자 9,238
68 [국가별 정보] 일본 수입통관절차 및 RCEP 활용법 알아보기 2023.05.30 운영자 10,596
67 [국가별 정보] EU 단일시장 30주년, 2023년 유럽연합 경제전망 2023.02.09 운영자 9,624
66 [국가별 정보] 한국기업이 주도하는 조지아주 EV 산업 2022.12.22 운영자 9,164
65 [국가별 정보] 일본 주요 글로벌기업의 공급망 ESG 관리 방침 2022.11.04 운영자 8,609

Now

[물류 뉴스] 이집트, 수에즈운하 통행료 내년부터 10~15% 인상 2022.09.29 운영자 8,047
63 [물류 정보] 숫자로 보는 세계 70개 항구 적체 현황 리포트(9월 호) 2022.09.29 운영자 7,643
62 [물류 정보] 숫자로 보는 세계 70개 항구 적체 현황 리포트(8월 호) 2022.08.31 운영자 7,321
61 [물류 정보] 숫자로 보는 세계 70개 항구 적체 현황 리포트(7월 호) 2022.07.28 운영자 7,318
60 [무역 정보] 바이든 행정부 '인도-태평양 경제 프레임워크(IPEF)', 무엇을 어떻게 담아낼까 2022.05.30 운영자 7,803
59 [국가별 정보] RCEP 발효, 베트남 수출 유망 상품은? 2022.04.06 운영자 7,839
58 [국가별 정보] 베트남 EPE(수출가공기업)에 대한 신규 준수요건 주요 내용 2022.01.20 운영자 9,250
57 [물류 뉴스] '중국의 배꼽' 우한과 부산항 직항로 열렸다… 물류대란에 '숨통' 2021.11.10 운영자 8,536
56 [국가별 정보] 코로나19와 물류대란이 야기한 EU 공급망 자립정책 2021.10.14 운영자 8,274
55 [국가별 정보] 중국, 수입 일반화장품 동물시험 의무화 철폐 2021.09.15 운영자 8,420
54 [물류 뉴스] 중기부, 수출 中企 780여곳 물류비 지원…최대 2000만원 2021.07.29 운영자 7,401
53 [국가별 정보] 中, <수출입식품 안전관리방법> 22년부터 시행 2021.06.03 운영자 7,694
52 [물류 뉴스] ‘컨선 고운임시대’ 물류비 절감 해법은 2021.05.11 운영자 9,375
51 [국가별 정보] 美 선박 물류 지연, 그 원인을 파헤치다 2021.04.08 운영자 8,641
50 [물류 뉴스] 코로나19발 수출 물류 대란에 ‘해상 교통정체’ 극심 2021.03.10 운영자 7,820
49 [국가별 정보] 2021년 중국 수입관세제도 주요 변경사항 2021.02.03 운영자 9,710